콘솔 펌웨어는 플래시 ROM에 들어 있고 Alpha 시스템의 전원을 켜거나 리셋할 때 시작합니다. Alpha 시스템에는 두 가지 콘솔 방식이 있어서, 두 종류의 콘솔 펌웨어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SRM 콘솔은, Alpha Console Subsystem 명세서에 기반하며, OpenVMS, Tru64 UNIX 및 리눅스 운영체제를 위한 운영 환경이 있습니다.
ARC, AlphaBIOS, 혹은 ARCSBIOS 콘솔은, Advanced RISC Computing (ARC) 명세서에 기반하며, Windows NT를 위한 운영 환경이 있습니다.
사용자 측면에서 SRM과 ARC의 가장 중요한 차이점은, 어떤 콘솔을 선택하느냐에 따라서 부팅하려는 하드 디스크에 사용할 수 있는 파티션 방식이 다르다는 점입니다.
ARC에서는 부팅 디스크에 MS-DOS 파티션 테이블을 사용해야 합니다 (cfdisk 명령으로 만듭니다). 즉 MS-DOS 파티션 테이블은 ARC에서 부팅할 때 “네이티브” 파티션 형식입니다. AlphaBIOS에 디스크 파티션 유틸리티가 들어 있기 때문에, 원한다면 리눅스를 설치하기 전에 펌웨어 메뉴에서 디스크를 파티션할 수도 있습니다.
그 반대로, SRM은 MS-DOS 파티션 테이블과 호환되지 않습니다. [3] Tru64 Unix는 BSD 디스크레이블 형식을 사용하기 때문에, 이 형식이 SRM 설치의 경우 “네이티브” 파티션 형식입니다.
Alpha에서 GNU/리눅스는 이 두 콘솔에서 모두 부팅할 수 있는 유일한 운영체제입니다. 하지만 Debian GNU/Linux 3.1 릴리스는 SRM 기반 시스템에서만 부팅을 지원합니다. SRM이 없는 Alpha 시스템을 가지고 있다면, Windows NT와 같이 선택 부팅을 할 것이고, BIOS 초기화에 ARC 콘솔 기능이 필요하다면, Debian GNU/Linux 3.1 설치 프로그램을 사용할 수 없을 것입니다. ARC 콘솔이 필요한 경우에도 다른 설치 미디어를 이용해서 Debian GNU/Linux 3.1 릴리스를 실행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MILO로 데비안 woody를 설치하고 업그레이드할 수 있습니다.
현재 제조되는 (2000년 2월 이후로) Alpha 시스템에서는 MILO를 사용할 수 없으므로, 그리고 옛날 Alpha 시스템에서 SRM 펌웨어를 쓰려고 OpenVMS나 Tru64 유닉스 라이선스를 구입할 필요는 없으므로, 가능하면 SRM을 사용하기를 권장합니다.
다음 표는 지원하는 시스템 종류/콘솔을 요약한 것입니다 (시스템 종류 이름에 관해서는 2.1.2절. “CPU, 메인 보드, 비디오 지원” 참고). 아래의 “ARC”라는 말은 ARC와 호환되는 모든 콘솔을 뜻합니다.
시스템 종류 | 지원하는 콘솔 종류 |
---|---|
alcor | ARC 혹은 SRM |
avanti | ARC 혹은 SRM |
book1 | SRM 전용 |
cabriolet | ARC 혹은 SRM |
dp264 | SRM 전용 |
eb164 | ARC 혹은 SRM |
eb64p | ARC 혹은 SRM |
eb66 | ARC 혹은 SRM |
eb66p | ARC 혹은 SRM |
jensen | SRM 전용 |
lx164 | ARC 혹은 SRM |
miata | ARC 혹은 SRM |
mikasa | ARC 혹은 SRM |
mikasa-p | SRM 전용 |
nautilus | ARC (마더보드 매뉴얼 참고) 혹은 SRM |
noname | ARC 혹은 SRM |
noritake | SRM 전용 |
noritake-p | SRM 전용 |
pc164 | ARC 혹은 SRM |
rawhide | SRM 전용 |
ruffian | ARC 전용 |
sable | SRM 전용 |
sable-g | SRM 전용 |
sx164 | ARC 혹은 SRM |
takara | ARC 혹은 SRM |
xl | ARC 전용 |
xlt | ARC 전용 |
이 콘솔 중에 어느 것도 직접 리눅스를 부팅할 수 없습니다. 그래서 중간 역할을 하는 부트 로더를 활용해야 합니다. SRM 콘솔의 경우 작은 플랫폼 독립 부트로더인, aboot를 사용합니다. aboot에 대한 더 자세한 정보는 SRM HOWTO를 참고하십시오. (아쉽지만 좀 오래 된 내용)
AlphaServer의 대다수와 현재의 모든 서버와 워크스테이션 제품들에는 펌웨어 안에 SRM과 AlphaBIOS가 모두 들어 있습니다. 여러가지 평가보드처럼 “반쪽-플래시”기계들의 경우에는, 펌웨어를 플래시에 다시 쓰는 방법을 통해 두 가지 사이를 전환할 수 있습니다. 또 SRM을 설치하면 플로피 디스크에서 ARC/AlphaBIOS를 실행할 수 있습니다 (arc 명령어 사용). 위에서 설명한 이유들때문에, 우리는 Debian GNU/Linux을 설치하기 전에 SRM으로 바꾸기를 권장합니다.
다른 아키텍처와 마찬가지로, Debian GNU/Linux을 설치하기 전에 항상 최신 버전의 펌웨어를 [4] 설치해야 합니다. Alpha의 경우, 펌웨어 업데이트는 Alpha Firmware Updates에서 구할 수 있습니다.
SRM에서 이더넷 인터페이스는 이름 앞에 ewa
가 붙고, show dev
명령을 실행하면 다음과 같은 인터페이스 목록을 볼 수 있습니다:
>>> show dev ewa0.0.0.9.0 EWA0 08-00-2B-86-98-65 ewb0.0.0.11.0 EWB0 08-00-2B-86-98-54 ewc0.0.0.2002.0 EWC0 00-06-2B-01-32-B0
먼저 부팅 프로토콜을 설정해야 합니다:
>>> set ewa0_protocol bootp
그 다음에 미디어 종류를 올바르게 맞추십시오:
>>> set ewa0_mode mode
>>>set ewa0_mode
명령으로 가능한 모드 목록을 볼 수 있습니다.
그 다음, 첫 번째 이더넷 인터페이스로 부팅하려면 다음을 입력하십시오:
>>> boot ewa0 -flags ""
그러면 netboot 이미지에 들어 있는 대로 기본 커널 파라미터를 사용해 부팅하게 됩니다.
시리얼 콘솔을 사용하려면, console=
파라미터를 커널에 넘겨야 합니다. -flags
인수를 SRM boot
명령에 사용하면 됩니다. 시리얼 포트의 이름은 /dev
아래 있는 해당 장치 파일 이름과 같습니다. 또, 추가 커널 파라미터를 지정할 경우, debian-installer
이미지에서 필요한 기본 옵션들을 다시 집어 넣어야 합니다. 예를 들어, ewa0
에서 부팅해서 첫 번째 시리얼 포트를 사용하려면, 다음과 같이 입력합니다:
>>> boot ewa0 -flags "root=/dev/ram ramdisk_size=16384 console=ttyS0"
다음 명령을 입력하십시오:
>>> boot xxxx -flags 0
여기서 xxxx
는 CD-ROM 드라이브의 SRM방식 표기입니다.
[3] 특히, Console Subsystem Specification에서 필요한 부트섹터 형식이 DOS 파티션 테이블의 위치와 충돌합니다
[4] Jensen의 경우는 예외입니다. Jensen에서는 1.7 뒤 버전의 펌웨어에서 리눅스를 사용할 수 없습니다. 자세한 정보는 http://www.alphalinux.org/faq/FAQ-9.html 참고.